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현대모비스
- 염승환
- 가치투자
- ETF
- 염블리
- 주린이탈출
- 서평
- 주린이가가장알고싶은최다질문TOP77
- 현대차배당금
- 연금ETF
- 흙수저탈출기
- ETF투자
- 기아배당금
- 배당주투자
- 주식투자
- 주식공부
- 주간주식현황
- 공인중개사
- 삼성전자우
- 롯데리츠
- CJ제일제당
- 고배당주
- 주린이
- 염승환부장
- 제일제당
- 현대차우
- 삼성전자
- 마이크로소프트
- 주린이탈출기
- 아마존닷컴
- Today
- Total
목록2024/03/05 (5)
흙수저탈출기
회계 정보의 질적 특성이란 재무제표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가 이용자에게 유용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속성을 의미한다. 이는 근본적 질적 특성과 보강적 질적 특성이 있다. 근본적 질적 특성은 목적적합성과 표현충실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목적적합성의 특성 요소로는 예측가치, 확인가치, 중요성이 있고, 표현충실성의 요소에는 완전성, 중립성, 무오류가 있다. 보강적 질적특성으로는 비교가능성, 검증가능성, 적시성, 이해가능성이 있다. 우선적으로 근본적 질적 특성 중 목적적합성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자. 기업 경영 중 의사결정 시에 정보가 있으면,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유리한 차이가 있음을 의미하며, 목적 적합한 재무정보는 정보이용자의 의사결정에 차이가 나도록 할 수 있다. 회계는 예측가치를 가진다. 이는 정보가..
기대수익률과 위험수준이 다양한 여러 자산집단(Asset class)을 대상으로 투자자금을 배분하여 최적의 자산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일련의 투자 과정을 자산배분(Asset Allocation)이라고 한다. 자산배분에는 2가지 종류가 있는데, 전략적 자산배분과 전술적 자산배분이 그것이다. 전략적 자산배분(SAA : Strategic Asset Alloction)은 장기적 관점에서 최소의 위험으로 중장기 투자자의 재무목표에 맞는 자산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의사결정과정을 말한다. 전술적 자산배분(TAA : Tactical Asset Allocaion)은 단기적으로 수익률을 제고하기 위해 자본시장 변동을 반영하여 자산집단의 구성비율을 적극적으로 변경하는 행위를 말한다. 자산배분은 투자성과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
채권은 다양한 기준에 의해서 구분할 수 있다. 우선 발행주체를 기준으로 분류하면 국채, 지방채, 특수채, 회사채, 외국채로 구분할 수 있다. 국채는 중앙정부가 국회의 의결을 거쳐 발행하는 채권을 말한다. 지방채는 특별시, 광역시 등의 지방자치단체가 지방재정법에 의거하여 특정 목적 달성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하여 발행하는 채권을 말한다. 특수채는 한국전력, 토지공사, 예금보험공사 등 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법인이 발행하는 채권이다. 회사채는 상법상의 주식회사가 발행하는 채권이고, 외국채는 외국법인 등(외국정부, 외국지방자치단체, 외국공공기관, 외국법령에 의하여 설립된 외국기업 및 조약에 의하여 설립된 국제금융기구 등)이 발행한 채권을 말한다. 원리금 지급에 대한 제3자의 지급보증 유무에 따라 보증사채와..
채권이란 발행 주체가 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행하는 차용증서를 말한다. 즉, 돈을 빌린 증서를 말하는 것이다. 채권의 발행자는 채권보유자에게 정해진 날짜에 정해진 금액을 지급할 것을 약속한다. 흔히 채권을 고정수익증권으로 표시하기도 한다. 영어로는 Fixed income security이고, 채권을 뜻하는 단어는 Bond 이다. 채권을 주로 발행하는 곳은 정부, 지방자치단체, 은행, 기업 등이고, 이 채권에 투자하는 투자자들은 자산운용회사, 보험회사, 은행, 개인 등이 있다. 채권의 첫번째 성격은 바로 확정이자부증권이라는 것이다. 확정이자부증권이란 만기까지 원리금 지급기준이 확정되어 있고, 채권발행자는 이자 지급에 따른 미래의 현금유출을 사전에 대비, 채권투자자는 고정적인 수익을 확보할 수 있다..
회계란 기업의 이해관계자들에게 그들의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식별 인식, 측정, 전달하는 모든 과정을 포함한 것을 말한다. 기업의 경우 경제활동의 양과 종류가 방대하여 일반적인 생활 속의 회계보다 고도로 정리된 기록체계를 필요로 한다. 경제활동에 관한 기록 체계를 "부기"라고 한다. 부기는 회계정보의 생산적인 측면을 담당한다. 회계의 목적은 우선 일상의 경제활동에 의한 재산의 변동을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기록함에 의해서 기업의 재산관리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통해서 기업의 경영성과와 재정상태 등을 명료하게 함으로서 기업의 이해관계자에게 의사결정시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는 것이 그 목적이다. 즉, 회계는 기업의 외부에 누군가에게 보여주고 이를 통해서 의사결정을 받는 근거 자료로 쓰이기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