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공인중개사
- 주린이가가장알고싶은최다질문TOP77
- ETF
- 염블리
- 마이크로소프트
- 아마존닷컴
- 현대모비스
- 흙수저탈출기
- 주린이
- 주간주식현황
- 서평
- 주식투자
- ETF투자
- 고배당주
- 염승환부장
- 주린이탈출기
- 배당주투자
- CJ제일제당
- 삼성전자우
- 기아배당금
- 연금ETF
- 삼성전자
- 현대차우
- 가치투자
- 현대차배당금
- 염승환
- 주식공부
- 퇴직연금
- 주린이탈출
- 제일제당
- Today
- Total
흙수저탈출기
확정급여형(DB)과 확정기여형(DC) 중에서 무엇이 더 유리할까? 본문
<언제 DC가 더 유리할까?>
안녕하세요, 여러분! 퇴직연금을 준비하면서 확정급여형(DB)과 확정기여형(DC) 중 뭘 골라야 할지 고민되시죠? 특히 DC는 내가 직접 운용해야 해서 망설여질 수 있는데요, 사실 특정 조건에서는 DC가 DB보다 훨씬 유리할 수 있어요. 오늘은 정량적인 기준을 통해 언제 DC를 선택하는 게 더 나은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숫자와 함께 살펴보니 확실히 감이 오실 거예요!
DB와 DC, 기본부터 짚고 가기
https://staiji54.tistory.com/163
퇴직연금 3종(확정급여형, 확정기여형, IRP)에 대한 이해하기
노후를 위한 첫걸음, 퇴직연금 3종 쉽게 이해하기안녕하세요, 여러분! 나중에 편안한 노후를 보내기 위해 지금부터 준비해야 할 것, 바로 퇴직연금이죠. 그런데 퇴직연금이 뭔지, 어떤 종류가 있
staiji54.tistory.com
• DB(확정급여형): 퇴직 시 받을 금액이 미리 정해져 있어요. 회사가 책임지고 투자까지 관리해주니까 안정적이에요.
• DC(확정기여형): 회사가 매년 일정 금액을 내 계좌에 넣어주고, 그걸 내가 투자해서 굴려요. 결과에 따라 수령액이 달라지죠.
DB는 안정성을, DC는 유연성과 수익 가능성을 주는 셈인데, 그럼 어떤 상황에서 DC가 빛을 발할까요?
아래에서 구체적인 조건을 하나씩 풀어볼게요.
DC가 유리한 정량적인 조건 3가지
1. 투자 수익률이 연 5% 이상 기대될 때
DB는 회사가 투자 수익률을 보장해주지만, 보통 평균 2~3% 수준의 안정적인 수익률을 기반으로 설계돼요(퇴직연금 운용 실적에 따라 다를 수 있음). 반면 DC는 내가 직접 펀드나 주식에 투자해서 연 5% 이상의 수익을 낼 수 있다면 더 큰 금액을 퇴직 시 받을 가능성이 커져요.
• 예시: 연봉 5천만 원인 직원이 매년 1/12(약 416만 원)을 DC로 적립한다고 해볼게요. 20년 근속 후 DB로는 약 8,300만 원(이자 제외 단순 계산)을 받지만, DC로 연 6% 수익을 내면 약 1억 5천만 원까지 불어날 수 있어요(복리 기준).
• 결론: 투자에 자신 있고 연 5% 이상 수익을 낼 수 있다면 DC가 유리!
2. 근속 연수가 10년 이하일 때
DB는 근속 연수가 길수록 퇴직급여가 쌓이는 구조라 장기 근속자에게 유리해요. 반면 DC는 매년 정해진 금액을 적립하니까, 짧은 기간 근무 후 퇴사할 계획이라면 운용 성과에 따라 DB보다 더 나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어요.
• 예시: 5년 근무 후 퇴사 시, DB로는 약 2,080만 원(연봉 5천만 원 기준)을 받지만, DC로 연 7% 수익을 내면 약 2,500만 원까지 가능해요.
• 결론: 단기 근무 후 이직 가능성이 높다면 DC로 빠르게 자산을 불리는 게 나을 수 있음!
3. 세제 혜택을 최대한 활용하고 싶을 때
DC는 개인이 추가로 금액을 납입해 세액공제(연간 최대 700만 원, 퇴직연금 포함 시 900만 원)를 받을 수 있는 경우가 많아요. 반면 DB는 회사 주도로 운영되니까 이런 혜택을 개인이 활용하기 어려워요.
• 예시: 연봉 5천만 원인 직원이 DC에 추가로 400만 원을 납입하면, 약 66만 원(16.5% 세율 기준)의 세금을 돌려받아요. 10년간 꾸준히 내면 세제 혜택만 660만 원!
• 결론: 소득이 높고 세제 혜택을 적극 활용하고 싶다면 DC가 더 유리!
DC 선택 시 주의할 점
DC는 수익 가능성이 크지만, 투자 실패 시 손실도 내가 감당해야 해요. 그러니 투자 지식이 부족하거나 안정적인 수익을 더 중시한다면 DB가 나을 수도 있어요. 본인의 투자 성향과 재무 상황을 꼭 점검해보세요.
마무리: 나에게 맞는 선택은?
정리해보면, DC는 투자 수익률 5% 이상, 근속 연수 10년 이하, 세제 혜택 활용을 기대할 수 있는 조건에서 DB보다 유리할 가능성이 높아요. 숫자로 따져보니 본인의 상황에 따라 선택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게 보이죠? 퇴직연금은 노후를 위한 큰 결정이니, 고민되면 전문가와 상담해보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여러분의 현명한 선택을 응원할게요!
궁금한 점 있으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세요. 다음에 더 유용한 정보로 돌아올게요!!